파주용미리 마애이불입상

4.5/5 기반으로 8 리뷰

Contact 파주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주소 :

Yongmi-ri, Gwangtan-myeon, Paju-si, Gyeonggi-do,South Korea

핸드폰 : 📞 +89
카테고리 :
도시 : do

Yongmi-ri, Gwangtan-myeon, Paju-si, Gyeonggi-do,South Korea
전창현 (horse) on Google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용미리 소재 용암사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93호인 화강암 석불2기이다. 괴이하게 생긴 2개의 불상 고려시대에 만들어져서 더 의미가 남다르다. 고 박정희대통령이
This is the 2nd set of granite stone Buddhas, Treasure No. The two bizarre-looking Buddhas were made in the Goryeo Dynasty, so they have a special meaning. The late President Park Chung-hee
김종문 on Google

크지 않지만 이곳 저곳 볼것이 많아요
It's not big, but there's a lot to see here and there.
최태규 on Google

작은 사찰에 마애불상 있습니다, 한번 다녀오세요!
There is a statue of Buddha in a small temple, please visit!
김종학 on Google

울산에서 5시간걸려 왔네요 보람이 있습니다 이제 내려가야지요 숙소잡기가 너무 힘드네요
It took me 5 hours from Ulsan. It is worthwhile I have to go down now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ccommodation.
S
SEUNG JOON LEE on Google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2구의 마애불. 보물. 두 구의 불상이 나란히 서 있는 마애불로 천연암벽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선각(線刻)을 더해 불신(佛身)을 표현하였고, 불두(佛頭)는 따로 만들어 얹었다. 전면에 있는 향좌측의 마애불은 향우측 불상에 비해 키가 더 크고 둥근 갓을 썼다. 왼손을 어깨높이로, 오른손은 가슴 높이로 들어 연꽃 줄기를 붙잡고 있다. 여래로서 연꽃 줄기를 들고 있는 경우는 석가모니, 혹은 미륵불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불상의 명문에 미륵불을 언급하고 있어 미륵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넓은 어깨를 당당하게 벌리고 있어 웅장한 느낌을 준다. 통견(通肩)의 착의를 하고 있다. 연꽃 줄기 아래의 가슴 부분에는 속의 가사를 입을 때 묶은 리본 모양의 띠 매듭이 보인다. 그 아래로 왼쪽 어깨로 쏠려 올라가는 듯한 ‘U’자형 옷 주름이 반복적으로 표현되며 흘러내리고 있는데 바위 맨 아래까지 흐릿하게 이어지고 있다. 좌우로는 양팔에서 흘러내린 소맷자락이 은행잎 모양의 옷 주름을 만들며 허리 아래에까지 늘어져 있다. 향우측의 불상은 향좌측의 마애불보다 키가 조금 작지만, 얼굴이 더 크며 네모난 갓을 쓰고 합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바위의 자연적 상태 때문에 몸은 약간 옆으로 튼 모습이지만, 얼굴은 둥근 갓을 쓴 마애불과 마찬가지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마치 두 불상이 어깨를 맞대고 있는 듯한 인상이 흥미롭다. 착의법이나 옷자락의 흐름은 옆의 마애불과 같지만 바위 면의 폭이 좁기 때문에 바위 측면에도 옷자락을 새겼다. 전하는 바로는 연꽃을 든 상은 남성, 합장한 상은 여성을 표현한 것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 마애불에는 고려 때의 조성 연기가 전하는데 다음과 같다. 고려 선종(재위 1083~1094)이 자식이 없어 원신궁주(元信宮主)를 맞이했는데, 역시 후사가 없었다. 그러던 중 궁주의 꿈에 두 도승(道僧)이 나타나 말하기를, ‘우리는 장지산(長芝山)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틈에 사는데 지금 매우 시장하다’하였다. 다음날 사람을 보내 알아보니 장지산 아래에 두 개의 큰 바위가 나란히 서 있다고 하였다. 이상하게 여긴 왕은 이 바위에 꿈속의 두 도승을 새기게 하고는 절을 지었는데, 마침 그 해에 왕자 한산후(漢山候)가 탄생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 설화를 고려해 이들 마애불의 제작 시기를 고려 전기인 11세기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암벽 면에서 ‘성화(成化) 7년’의 명문이 발견됨에 따라 조선 초기의 작품일 가능성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즉 ‘성화 7년’은 1471년(성종 2)에 해당하는데, 이전에는 이 명문을 마애불을 제작할 때 새겨 넣은 것이 아니라 후대인 조선 초기에 기록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명문에 등장하는 추모 대상인 세조 및 그와 연관된 인물들의 능묘가 파주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서 마애불을 새롭게 조성할만한 의미가 충분하다는 점이 지적되었고, 아울러 연꽃을 든 마애불이 쓴 둥근 갓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관모로 사용된 것이기에 이들 마애불은 조선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마애불의 명문은 모두 세 군데에 분포하는데, 우선 네모난 갓을 쓴 마애불의 바위 측면에 새겨진 명문은 다음과 같다. “성화칠년칠월(成化七年七月), 발원문(發願文), 원차동류견불토불향삼세삼유각(願此同類見佛土不向三世三有閣), 직입서방구품중유타일시성정각(直入西方九品中自他一時成正覺), 우원미륵용화지중류재초회작상지(又願彌勒龍華之中類在初會作上之), 정법정경부인이씨(正法貞敬夫人李氏), 일인유경대비무우대비구니도명(一人有慶大妃無憂大比丘尼道明), 대시주함양군화주혜심(大施主咸陽君化主惠心), 태인군부인이씨(泰仁郡夫人李氏), 양씨(梁氏), 대시주상호군심장기(大施主上護軍沈長己), 김씨(金氏), 통진안씨반남박씨전중흥사주지대사□□근운□혜대사(通津安氏潘南朴氏前中興寺主持大師□□僅雲□惠大師), 부정류안정선한씨(副正柳安善韓氏), 상호군이효지양주(上護軍李孝志兩主), 사직정불중양주(司直鄭仏仲兩主), 충찬위김중산양주(忠贊衛金仲山兩主), 사직허계지양주(司直許継智兩主), 이씨최지(李氏崔知), 정병김덕수양주(正兵金德守兩主), □□한인중양주(□□韓仁重兩主)”. 둥근 갓을 쓴 마애불 아래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있다. “당래미륵여래대성(當來彌勒如來大聖), 세조대왕왕생정토(世祖大王往生淨土)”. 끝으로 네모난 갓을 쓴 마애불 아래의 명문은 다음과 같다. “주상전하수□□(主上殿下壽□□)”. 천연암벽의 자연미를 불상 조각에 적절히 활용해 미적 수준을 높인 작품이다. 바위가 자연적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한 마애불에서는 연꽃 줄기를 잡기 위해 들어 올린 팔의 모습으로 묘사하였고, 다른 마애불에서는 합장한 팔로 응용하였다. 옷자락의 흐름 역시 바위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조각가의 탁월한 선택이 돋보인다. 마치 일부러 조각한 것이 아니라, 원래 바위 속에 있었던 부처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그것을 더욱 잘 보이게 하려고 표시를 해놓은 듯 (한국민족문화대백과)
Maaebul in 2 districts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Gwangtan-myeon, Paju-si, Gyeonggi-do. treasure. It is a Maae Buddha with two statues of Buddha standing side by side, using natural rock walls appropriately and adding lines to express disbelief. The Buddha statue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side is taller than the Buddha statue on the right side and has a round cap. The left hand is at shoulder height and the right hand is at chest level, holding the lotus stem. When the Tathagata is holding a lotus stem, it is often interpreted as Sakyamuni or Maitreya Buddha. The statue of Buddha proudly spreads its wide shoulders, giving it a majestic feeling. He is wearing a uniform of Tonggyeon. On the chest part under the lotus stem, a ribbon-shaped band knot tied when wearing the inner gara can be seen. The ‘U’-shaped folds of clothes that seem to be pulled up to the left shoulder below it are repeatedly expressed and flowed down, blurringly leading to the bottom of the rock. To the left and right, the cuffs flowing down from both arms form ginkgo leaf-shaped pleats and hang down below the waist. The Buddha on the right side is a little shorter than the Buddha on the left, but has a larger face and is wearing a square hat and holding hands. Due to the natural condition of the rock, the body is slightly bent to the side, but the face is staring straight ahead, just like the Buddha in a round hat. The impression that it is as if two Buddhas are shoulder to shoulder is interesting. The clothing method and the flow of the hem are the same as the side of Maaebul, but because the width of the rock is narrow, the hem is also engraved on the side of the rock. It is also said that the statue holding a lotus flower represents a man, and the one holding hands represents a woman. On the other hand, in this Maaebul, the smoke of the Goryeo dynasty is conveyed, and it is as follows. King Seonjong of Goryeo (reigned 1083-1094) had no children, so he received Wonsingungju (元信宫), but he also had no heirs. Then, in a dream of the king, two monks appeared and said, “We live in a crevice of rocks at the southern foot of Mt. Jangji, and we are very hungry right now.” The next day, he sent someone to find out that there were two large rocks standing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Mt. Jangji. The king, who thought it was strange, had the two monks of his dreams carved on this rock, and built the temple, and it is said that in that year, Prince Hansanhu was born. In the past, considering this legend, it was estimated that these Buddha statues were made in the 11th century, the early Goryeo period. However, as the inscription of ‘Seven Years of Seonghwa’ was found on the rock face, the possibility that it was a work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newly suggested. In other words, ‘the 7th year of Seonghwa’ corresponds to the year 1471 (the 2nd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Previously, it was understood that this inscription was not engraved during the production of Maaebul, but was record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tombs of King Sejo, the object of remembrance, and related figures appearing in inscriptions, are widely distributed in Paju, so it is meaningful enough to create a new Buddha statue. Since they were used as official caps from the horse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se Maaebulls were mad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inscriptions of Maaebul are distributed in three places. First,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the side of the rock of Maaebul wearing a square cap are as follows. “The Seven Years and Seven Months of Seonghwa, the Invocation Letter, The Three Ages Three Yugak (願此同類見不向三世三有閣), one of the original western products.直入西方九品中自他一時成正覺, Woowon Maitreya Yonghwaji Jungryu Re-first Re-primary Jaksangji (又願彌勒龍華之中類在初他理氏夫人) , One-person Yu-Gyeong, one-person Yu-Gyeong, one-person Yu-Gyeong, one-person Yu-Gyeong, one-person, one-man, one person, one person, one person, one person, one person, one person, one person; Yang clan (梁氏), Dashi Joo Mutual Army Heart Ki (大施主上護military commander), Kim clan (金氏), Tongjin-an clan Bannam Park clan Former ambassador to Jungheungsaji dynasty □□僅雲□惠大師), Ahn Jeong Seon Han clan (副正柳安善han han 副正柳安善han氏), Mutual Army Yi Hyoji Yangju (上護military 李孝志兩主), Sajikjeongbuljungyangju ), Chung Chan-wi Kim Jung-san Yangju (忠贊衛金仲山兩主), Sajik Heo-gye-jiyang-ju (直許継智兩Principal), Lee Csi Choi Ji (李氏崔知), Jeong Byung Kim Deoksu Yangju (正兵金德守兩) □Korean Central Yangju”. Below the Maaebul with a round cap is the following inscription. “Dangrae Maitreya Nyorai Daeseong (當來彌勒如來大성), The Pure Land of King Sejo the Great”. Lastly, the inscription under the Maaebul wearing a square cap is as follows. “The Columnar Electrolytes □□”. It is a work that raises the aesthetic level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natural beauty of natural rock walls in the sculpture of the Buddha. The natural protruding part of the rock was described as an arm raised to grab a lotus stem in one Buddha Buddha, and applied as a crossed arm in the other Buddha Buddha. The flow of the hem is also in exquisite harmony with the rock, highlighting the sculptor's excellent choice. As if it was not intentionally sculpted, but as if they found the Buddha in the original rock and marked it to make it more visible. (Encyclopedia of Korean National Culture)
R
Raquel Villegas on Google

Beautiful ?
이퇴우 on Google

Unusual twin Buddhas.
E
Emilita Ilao on Google

Excellent

Write some of your reviews for the company 파주용미리 마애이불입상

귀하의 리뷰는 다른 고객이 정보를 찾고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평가 *
당신의 검토 *

(Minimum 30 characters)

당신의 이름 *